Cloudera CDH/CDP 및 Hadoop EcoSystem, Semantic IoT등의 개발/운영 기술을 정리합니다. gooper@gooper.com로 문의 주세요.
http://git-scm.com/book/ko/v2
1. 시작하기
2. Git의 기초
- 2.1 Git 저장소 만들기
 - 2.2 수정하고 저장소에 저장하기
 - 2.3 커밋 히스토리 조회하기
 - 2.4 되돌리기
 - 2.5 리모트 저장소
 - 2.6 태그
 - 2.7 Git Alias
 - 2.8 요약
 
3. Git 브랜치
- 3.1 브랜치란 무엇인가
 - 3.2 브랜치와 Merge 의 기초
 - 3.3 브랜치 관리
 - 3.4 브랜치 Workflow
 - 3.5 리모트 브랜치
 - 3.6 Rebase 하기
 - 3.7 요약
 
4. Git 서버
- 4.1 프로토콜
 - 4.2 서버에 Git 설치하기
 - 4.3 SSH 공개키 만들기
 - 4.4 서버 설정하기
 - 4.5 Git 데몬
 - 4.6 스마트 HTTP
 - 4.7 GitWeb
 - 4.8 GitLab
 - 4.9 또 다른 선택지, 호스팅
 - 4.10 요약
 
5. 분산 환경에서의 Git
- 5.1 분산 환경에서의 Workflow
 - 5.2 프로젝트에 기여하기
 - 5.3 프로젝트 관리하기
 - 5.4 요약
 
6. GitHub
- 6.1 계정 만들고 설정하기
 - 6.2 프로젝트에 기여하기
 - 6.3 프로젝트 관리하기
 - 6.4 Organization 관리하기
 - 6.5 GitHub 스크립팅
 - 6.6 요약
 
7. Git 도구
- 7.1 리비전 조회하기
 - 7.2 대화형 명령
 - 7.3 Stashing과 Cleaning
 - 7.4 내 작업에 서명하기
 - 7.5 검색
 - 7.6 히스토리 단장하기
 - 7.7 Reset 명확히 알고 가기
 - 7.8 고급 Merge
 - 7.9 Rerere
 - 7.10 Git으로 버그 찾기
 - 7.11 서브모듈
 - 7.12 Bundle
 - 7.13 Replace
 - 7.14 Credential 저장소
 - 7.15 요약
 
8. Git맞춤
- 8.1 Git 설정하기
 - 8.2 Git Attributes
 - 8.3 Git Hooks
 - 8.4 정책 구현하기
 - 8.5 요약
 
9. Git으로 이전하기
- 9.1 Git: 범용 Client
 - 9.2 Git으로 옮기기
 - 9.3 요약
 
10. Git의 내부
- 10.1 Plumbing 명령과 Porcelain 명령
 - 10.2 Git 개체
 - 10.3 Git Refs
 - 10.4 Packfile
 - 10.5 Refspec
 - 10.6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
 - 10.7 운영 및 데이터 복구
 - 10.8 환경변수
 - 10.9 요약
 
A1. 다양한 환경에서 Git 사용하기
- A1.1 GUI
 - A1.2 Visual Studio
 - A1.3 Eclipse
 - A1.4 Bash
 - A1.5 Zsh
 - A1.6 Powershell
 - A1.7 요약
 
A2. 애플리케이션에 Git 넣기
A3. Git 명령어
- A3.1 설치와 설정
 - A3.2 프로젝트 가져오기와 생성하기
 - A3.3 스냅샷 다루기
 - A3.4 Branch와 Merge
 - A3.5 공유하고 업데이트하기
 - A3.6 보기와 비교
 - A3.7 Debugging
 - A3.8 Patch 하기
 - A3.9 Email
 - A3.10 다른 버전 관리 시스템
 - A3.11 관리
 - A3.12 Plumbing 명령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