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udera, BigData, Semantic IoT, Hadoop, NoSQL

Cloudera CDH/CDP 및 Hadoop EcoSystem, Semantic IoT등의 개발/운영 기술을 정리합니다. gooper@gooper.com로 문의 주세요.


Kudu서비스의 WebUI(node01.gooper.com/8050)를 통해서 Memory(detail)탭을 클릭하면 설정된 최대 메모리와 현재 사용 현황을 확인 할 수 있다. 

화면의 Process memory usage에서 아래 값을 확인해서 Percentage consumed가 95%이상 이면 필요시 tablet server를 restart해서 메모리가 release되게 해줘야 한다. 

(정상적인 경우라면 메모리가 자동으로 release되어야 하는데 악성쿼리 혹은 OS, Kudu 버그 등에 의해서 메모리가 relase되지 않고 1일 이상 유지되는 경우가 있음)


Total consumption : 50G

Memory limit 100.00G

Percentage consumed 50%



*오류 내용 : 

Error in Kudu table 'impala::DB명.table명': Timed out: Failed to write batch of 1432 ops to tablet 5trgy678996hjh after 455 attempt(s): Failed to write to server: (no server available): Write(tablet : 5trgy678996hjh, num_ops: 1432, num_attempts: 455) passwd its deadline: Remote error: Service unavailable: Soft memory limit exceeded (at 100.05% of capacity)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710 통계자료 구할수 있는 곳 2014.04.16 4361
709 json 값 다루기 2014.04.17 4217
708 json serde사용법 2014.04.17 4535
707 oozie에서 share lib설정시 action type별로 구분하여 넣을것 2014.04.18 4899
706 os가 windows7인 host pc에서 ubuntu가 os인 guest pc에 접근하기 위한 네트워크설정 2014.04.20 4336
705 The disk drive for uuid= is not ready yet or not present 오류 해결방법 2014.04.21 4105
704 sqoop 1.4.4 설치및 테스트 2014.04.21 5445
703 Building a Cluster docs 2014.04.22 3816
702 ubuntu 12.4에서 eclipse설치후 기동시 library(swt-gtk*)관련 오류 2014.04.23 3650
701 sequence한 번호 생성방법 2014.04.25 4523
700 unique한 값 생성 2014.04.25 4448
699 hbase shell에서 컬럼값 검색하기(SingleColumnValueFilter이용) 2014.04.25 4961
698 index생성, 삭제, 활용 2014.04.25 4488
697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샘플 빅데이터 파일 다운로드 사이트 2014.04.28 5336
696 insert hbase by hive ... error occured after 5 hours..HMaster가 뜨지 않는 장애에 대한 복구 방법 2014.04.29 9666
695 ping 안될때.. networking restart 날려주면 잘됨.. 2014.05.09 5216
694 우분투 16.04 LTS에 apache2와 tomcat7 연동하여 설치하기 2014.05.09 4309
693 oozie가 말하는 start시간은..서버에서 확인되는 시간이 아닙니다. 2014.05.14 4557
692 sqoop export/import등을 할때 driver를 못찾는 오류가 발생하면... 2014.05.15 4490
691 sqoop에서 oracle관련 작업할때 테이블명, 사용자명, DB명은 모두 대문자로 사용할것 2014.05.15 4088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