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udera, BigData, Semantic IoT, Hadoop, NoSQL

Cloudera CDH/CDP 및 Hadoop EcoSystem, Semantic IoT등의 개발/운영 기술을 정리합니다. gooper@gooper.com로 문의 주세요.


1. oozie에서 제공하는 ssh action을 이용하여 다른 서버에 패스워드 없이 ssh로그인 하여 그 안에 있는 shellscript호출하는 설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oozie서버 : oozieserver.gooper.com <- client이면서 출발지 서버(호스트명 oozieserver)

ssh로 접속하려는 서버 :  sshserver.gooper.com <- 목적지 서버(호스트명 sshserver)

ssh접속 계정 :  hadoop


1. 설정

centos 8이전 버젼에서는 /etc/hosts.allow에 ssh: 접속허용IP 형태로 등록해주고 출발지와 목적지 서버간 22번 포트에 대한 방화벽을 오픈한다. 


2. oozie계정에 대한 key생성(공개키/개인키 기반의 키를 생성함)

sudo -u oozie ssh-keygen -t rsa


3. 2번에서 생성한 oozie계정용 key를 sshserver.gooper.com서버에 있는 hadoop계정의 authorized_keys에 추가 (home폴더는 /var/lib/계정 의 위치에 생성될 수도 있음)

sudo -u oozie ssh-copy_id i /home/oozie/.ssh/id_rsa.pub hadoop@sshserver.gooper.com


4. 패스워드 없이 접속 가능한지 접속 테스트

sudo -u oozie ssh hadoop@sslserver.gooper.com


* 참고#1 : oozie 프로세스에서 다른 서버에 hadoop게정으로 접속하는 경우 hadoop계정의 키를 생성해서 배포하고 hadoop계정으로 접속하거나 oozie서버의 oozie서비스 프로세스 기동한 계정인 oozie계정의 public key를 3번 처럼 목적지 서버에 배포한 후 4번처럼 ssh접속하면 패스워드를 따로 묻지 않고 접속됨.

 참고#2: 외부서버에서 oozie서버에 ssh접근하는 경우는 외부 서버의 shellecript실행할 os계정(예, msl)의 공개키를 받아서 oozie서버의 /home/msl2/.ssh/authorized_keys파일에 수동 등록해주면 

  외부 서버에서 sudo -u msl ssh msl2@oozieserver.gooper.com 처럼 msl계정으로 shellscript를 수행후 shellscript안에서 msl2계정으로 oozie서버에 패스워드 없이 ssh접근이 가능함)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407 Hive 사용법 및 쿼리 샘플코드 2013.03.07 5441
406 org.apache.hadoop.security.AccessControlException: Permission denied: user=hadoop, access=WRITE, inode="":root:supergroup:rwxr-xr-x 오류 처리방법 2014.07.05 5383
405 banana pi에(lubuntu)에 hadoop설치하고 테스트하기 - 성공 file 2014.07.05 5343
404 upsert구현방법(년-월-일 파티션을 기준으로) 및 테스트 script file 2018.07.03 5340
403 mysql-server 기동시 Do you already have another mysqld server running on port 오류 발생할때 확인및 조치방법 2017.05.14 5337
402 Cloudera Hadoop and Spark Developer Certification 준비(참고) 2018.05.16 5309
401 [CDP7.1.7]impala-shell수행시 간헐적으로 "-k requires a valid kerberos ticket but no valid kerberos ticket found." 오류 2023.11.16 5307
400 org.apache.hadoop.hbase.PleaseHoldException: Master is initializing 2013.03.15 5303
399 HBase, BigTable, Cassandra Schema Design file 2013.03.15 5294
398 Hive Query Examples from test code (1 of 2) 2014.03.26 5245
397 [Kudu]ERROR: Unable to advance iterator for node with id '2' for Kudu table 'impala::core.pm0_abdasubjct': Network error: recv error from unknown peer: Transport endpoint is not connected (error 107) 2023.03.16 5210
396 kafka broker기동시 brokerId가 달라서 기동에 실패하는 경우 조치방법 2016.05.02 5188
395 Hive+mysql 설치 및 환경구축하기 file 2013.03.07 5120
394 hive job실행시 meta정보를 원격의 mysql에 저장하는 경우 설정방법 2014.05.28 5098
393 HBase 설치하기 – Pseudo-distributed file 2013.03.12 5093
392 kudu rebalance수행 command예시 2022.01.17 5072
391 Master rejected startup because clock is out of sync 오류 해결방법 2016.05.03 5067
390 HiveServer2인증을 PAM을 이용하도록 설정하는 방법 2018.07.21 5043
389 Cloudera의 API를 이용하여 impala의 실행되었던 쿼리 확인하는 예시 2018.05.03 5002
388 scan의 startrow, stoprow지정하는 방법 2015.04.08 4970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