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udera, BigData, Semantic IoT, Hadoop, NoSQL

Cloudera CDH/CDP 및 Hadoop EcoSystem, Semantic IoT등의 개발/운영 기술을 정리합니다. gooper@gooper.com로 문의 주세요.


hbase HBase 설치하기 – Fully-distributed

구퍼 2013.03.12 15:19 조회 수 : 6013

HBase 설치하기 – Fully-distributed

이번엔 Fully-distributed 모드로 설치를 해보자.
일전에 HBase 설치하기 – Pseudo-distributed 의 설정이 되어있다는 가정이다.
여기에서 추가/변경되는 부분만 설명한다.

또한, 주키퍼는 주키퍼(ZooKeeper) 설치하기 에서처럼
192.168.0.1, 192.168.0.2, 192.168.0.3 인 서버 3군데로 확장되어있다고 하자.

HBase는 Master서버(HMaster)와 Region서버(HRegionServer)를 아래처럼 구성한다.
Master 서버 : 192.168.0.101
Region 서버 : 192.168.0.102, 192.168.0.103

HBase 설치하기 – Pseudo-distributed 에서 설치했던 서버를 Master 로 사용하자.

# cd /usr/local/src

먼저 hbase-site.xml 를 수정한다.

# vi conf/hbase-site.xml

<configuration>
<property>
<name>hbase.rootdir</name>
<value>hdfs://192.168.0.101:9000/hbase</value>
</property>
<property>
<name>hbase.zookeeper.quorum</name>
<value>192.168.0.1,192.168.0.2,192.168.0.3</value>
</property>
</configuration>

이제 hbase-env.sh 을 수정하자
HBASE_MANAGES_ZK 를 true로 하면, HBase가 Zookeeper를 기동/중지시키게 되는데
이럴 경우 하나의 Zookeeper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여러 Zookeeper로 분산된 경우에는 false로 한다.

# vi conf/hbase-env.sh

# Tell HBase whether it should manage it’s own instance of Zookeeper or not.
# export HBASE_MANAGES_ZK=true
export HBASE_MANAGES_ZK=false

다음으로, RegionServer 로 사용될 서버 정보들만 regionservers 에 등록한다.
Master서버는 등록하지 않는다. 기본적으로는 localhost 가 등록되어있다.

# vi conf/regionservers

192.168.0.102
192.168.0.103

이제, 설정이 모두 끝났다. 설정을 다른 서버로 복사하자.

특별히 분산 설치를 위한 작업이 있는 것은 아니고,
conf 디렉토리 아래 설정파일들을 나머지 Region 서버에도 그대로 복사하면 해준다.

최초 서버 구성이라면, 폴더를 그대로 다 복사하고.

# rsync -av . root@192.168.0.101:/usr/local/hbase/

추후에 추가 구성을 하는 경우라면 설정파일만 복사하자.

# rsync -av ./conf/ root@192.168.0.101:/usr/local/hbase/conf/

HBase 구동은 Master 서버에서만 HBase를 가동하면 된다.

# bin/start-hbase.sh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70 [Cloudera 6.3.4, Kudu]]Service Monitor에서 사용하는 metric중에 일부를 blacklist로 설정하여 모니터링 정보 수집 제외하는 방법 2022.07.08 4240
69 [Kudu]Schema별 혹은 테이블별 사용량(Replica포함) 구하는 방법 2022.07.14 4403
68 [CDP7.1.7]Impala Query의 Memory Spilled 양은 ScratchFileUsedBytes값을 누적해서 구할 수 있다. 2022.07.29 4421
67 [kerberos]Kerberos HA구성 참고 페이지 2022.08.31 3321
66 Oracle 12c DB의 LOB타입 컬럼이 있는 테이블을 import할 때 주의 할 사항 2022.09.14 4411
65 [Kerberos인증] /var/log/krb5kdc.log파일 기준으로 인증요청(AS), 티켓확인(TGS)이 진행되는 로그 기록 2022.09.21 4421
64 [impala]쿼리 수행중 발생하는 오류(due to memory pressure: the memory usage of this transaction, Failed to write to server) 2022.10.05 4257
63 kerberos연동된 CDH 6.3.4에서 default realm값이 잘못된 상태에서 서비스 기동시 오류 2022.10.14 4277
62 kudu의 내부 table명 변경하는 방법 2022.11.10 3809
61 [oozie]oozie ssh action으로 패스워드 없이 다른 서버에 ssh로그인 하여 shellscript호출하는 설정하는 방법 2022.11.10 4296
60 [Impala 3.2버젼]compute incremental stats db명.테이블명 수행시 ERROR: AnalysisException: Incremental stats size estimate exceeds 2000.00MB. 오류 발생원인및 조치방안 2022.11.30 4844
59 [HA구성 이슈]oozie 2대를 L4로 HA구성했을때 발생하는 이슈 2023.01.17 4903
58 [Kerberos]병렬 kinit 호출시 cache파일이 손상되어 Bad format in credentials cache 혹은 No credentials cache found 혹은 Internal credentials cache error 오류 발생시 2023.01.20 4582
57 [Impala TLS/SSL이슈]RangerAdminRESTClient.java:151] Failed to get response, Error is: TrustManager is not specified 2023.02.02 4339
56 [ftgo_application]Unable to infer base url오류 발생시 조치방법 2023.02.20 4826
55 ./gradlew :composeDown 및 ./gradlew :composeUp 를 성공했을때의 메세지 2023.02.20 4411
54 호출 url현황 2023.02.21 2344
53 [Hive canary]Hive에 Metastore canary red alert및 hive log파일에 Duplicate entry '123456' for key 'NOTIFICATION_LOG_EVENT_ID'가 발생시 조치사항 2023.03.10 4777
52 hive의 메타정보 테이블을 MariaDB로 사용하는 경우 table comment나 column comment에 한글 입력시 깨지는 경우 utf8로 바꾸는 방법. 2023.03.10 4810
51 [Kudu]ERROR: Unable to advance iterator for node with id '2' for Kudu table 'impala::core.pm0_abdasubjct': Network error: recv error from unknown peer: Transport endpoint is not connected (error 107) 2023.03.16 521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