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Bigdata, Semantic IoT, Hadoop, NoSQL

Bigdata, Hadoop ecosystem, Semantic IoT등의 프로젝트를 진행중에 습득한 내용을 정리하는 곳입니다.
필요한 분을 위해서 공개하고 있습니다. 문의사항은 gooper@gooper.com로 메일을 보내주세요.


spark Spark 1.6.1 설치후 HA구성

총관리자 2016.05.24 11:00 조회 수 : 455

1. 다운로드/설치/설정


2. zookeeper를 이용한 HA로 실행(방법1, 별도의 파일에 HA정보를 설정하는 방법)

 가. ./conf/ha.conf파일을 생성하고 다음의 내용을 추가한다.(master로 사용되는 서버에 모두 있어야함)

  spark.deploy.recoveryMode=ZOOKEEPER
  spark.deploy.zookeeper.url=gsda1:2181,gsda2:2181,gsda3:2181
  spark.deploy.zookeeper.dir=/spark

 나. master실행(master로 사용되는 각 서버에서 실행, 2개서버) :

   ./sbin/start-master.sh -h gsda1 -p 7077 --webui-port 8123 --properties-file ./conf/ha.conf

   ./sbin/start-master.sh -h gsda2 -p 7077 --webui-port 8123 --properties-file ./conf/ha.conf


 다. slave실행(slave로 사용되는 각 서버에서 실행)

  ./sbin/start-slave.sh spark://gsda1:7077,gsda2:7077


 라. spark-shell실행

  ./bin/spark-shell --master spark://gsda1:7077,gsda2:7077


 * zookeeper의 zlCli.sh를 실행해서 "ls /"을 명령을 주면 znode중에 "spark"를 확인할 수 있다.


3. zookeeper를 이용한 HA로 실행(방법2, spark-env.sh에 HA정보를 설정하는 방법)

 가. ./conf/spark-env.sh에 다음의 내용을 추가함

  export SPARK_MASTER_WEBUI_PORT=8123

  export SPARK_LOG_DIR=/logs/spark

  export SPARK_SSH_OPTS=" -p 22 "

  export STANDALONE_SPARK_MASTER_HOST=gsda1,gsda2

  export SPARK_DAEMON_JAVA_OPTS="-Dspark.deploy.recoveryMode=ZOOKEEPER -Dspark.deploy.zookeeper.url=gsda1:2181,gsda2:2181,gsda3:2181"


 나. ./sbin/start-all.sh을 실행한다.(master와 slave들이 실행된다) 

 다. 2번째 master서버에서 다음을 실행한다.(standby모드로 기동함)

   ./sbin/start-master.sh을 실행하면 conf정보를 참조하여 기동한다.


* 확인방법 http://gsda1:8123/ 하면 status가 alive, http://gsda2:8123/ 하면 status가 standby로 표시된다.


4. HA 작동여부 확인방법

 가. master2서버에서 http://gsda2:8123로 status가 standby상태인지 확인한다

 나. master1서버에서 ./sbin/stop-master.sh로 master를 중지한다.

 다. master2서버에서 http://gsda2:8123를 실행하여 Workers목록이 모두 표시되고 status가 standby->Alive로 변경되는지 확인한다.


5. spark master가 다운되었을때 다시 기동하도록 하는 방법

  - spark-env.sh에 다음과 같은 라인을 추가한다.

 export SPARK_DAEMON_JAVA_OPTS="-Dspark.deploy.recoveryMode=FILESYSTEM -Dspark.deploy.recoveryDirectory=/spark/recovery"

 * recoveryMode를 FILESYSTEM으로 하면 recoveryDirectory에 recovery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master가 다운되면 master만 다시 기동해주는 형태로 복구를 수행한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0 json 값 다루기 총관리자 2014.04.17 1222
109 Caused by: java.net.URISyntaxException: Relative path in absolute URI: ${system:java.io.tmpdir%7D/$%7Bsystem:user.name%7D오류발생시 조치사항 총관리자 2016.06.03 1141
108 json serde사용법 총관리자 2014.04.17 1140
107 sequence한 번호 생성방법 총관리자 2014.04.25 1123
106 spark stream처리할때 두개의 client프로그램이 동일한 checkpoint로 접근할때 발생하는 오류 내용 총관리자 2018.01.16 1115
105 hive job실행시 meta정보를 원격의 mysql에 저장하는 경우 설정방법 총관리자 2014.05.28 1088
104 external partition table생성및 data확인 총관리자 2014.04.03 1072
103 Hive Query Examples from test code (1 of 2) 총관리자 2014.03.26 1050
102 impala 설치/설정 총관리자 2016.06.03 1041
101 "Initial job has not accepted any resources; check your cluster UI to ensure that workers are registered and have sufficient resources"오류 발생시 조치사항 총관리자 2016.05.25 1030
100 hive에서 insert overwrite directory.. 로 하면 default column구분자는 'SOH'혹은 't'가 됨 총관리자 2014.05.20 999
99 json으로 존재하는 데이터 parsing하기 총관리자 2019.03.25 978
98 unique한 값 생성 총관리자 2014.04.25 888
97 Hive JDBC Connection과 유형별 에러및 필요한 jar파일 총관리자 2021.05.24 849
96 dual table만들기 총관리자 2014.05.16 839
95 hive query에서 mapreduce돌리지 않고 select하는 방법 총관리자 2014.05.23 813
94 oracle to hive data type정리표 총관리자 2018.08.22 766
93 beeline실행시 User: root is not allowed to impersonate오류 발생시 조치사항 총관리자 2016.06.03 761
92 hive metastore ERD file 총관리자 2018.09.20 743
91 [Impala 3.2버젼]compute incremental stats db명.테이블명 수행시 ERROR: AnalysisException: Incremental stats size estimate exceeds 2000.00MB. 오류 발생원인및 조치방안 gooper 2022.11.30 701

A personal place to organize information learned during the development of such Hadoop, Hive, Hbase, Semantic IoT, etc.
We are open to the required minutes. Please send inquiries to gooper@gooper.com.

위로